Disease name

모세혈관 확장 성 운동실조
 ataxia-telangiectasia

Marker gene

Gene symbol Chromosome location Protein name
ATM 11q22.3 Serine-protein kinase ATM

Prevalence

1-9/ 100 000

Inheritance

상염색체 열성

Age of onset

신생아기, 영아기

ICD 10 code

G11.3

MIM number

208900
208910
604391

Synonym

루이-바아 증후군 (Louis-Bar syndrome)

Summary

모세혈관 확장 성 운동실조는 진행성 소뇌운동 실조증과 심각한 복합성 면역결핍 (주로 체액 성 면역 결핍)이 결합된 질환이다. 특징적으로 신경학적 징후와 모세혈관 확장, 감염에 대한 취약성, 암 발생률 증가 등을 보인다. 평균 유병률은 100,000 명당 1명 정도로 추정된다. 신경학적, 면역학적 혹은 호흡기계 증상 발현의 중증도는 환자마다 크게 다르다. 생후 1-2세에 머리의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균형 운동의 손실을 보이기 시작하고 이후 말이 어눌해지거나 비정상적인 안구움직임을 보인다. 9-10세 경에 협동운동의 장애나 사지의 불수의적인 떨림을 보이기 시작하여 점차 악화된다. 무도무정위운동 (choreathetosis)는 매우 일반적이다. 많은 경우에서 지능은 정상이지만 30% 정도의 환자는 학습장애나 중등도의 지능저하를 보인다. 피부점막의 모세혈관 확장은 3-6세 사이에 나타나거나 사춘기에 발현하다. 면역결핍으로 인해 부비동 염이나 페렴이 반복되고 이후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a)으로 진행한다. 또한 성장지연이 흔하다.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ATM 유전자 (11q22.3)의 불활성화에 의해 발생한다. ATM 유전자는 광범위하게 발현되며 DNA double-strand-break 손상을 회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tein kinase를 encoding 하며 주로 소뇌의 Purkinje cell과 대뇌, 피부, 결막에서 주로 작용한다. 모세혈관 확장 성 운동실조 유사질환은 모세혈관 확장 성 운동실조의 드문 변형으로 MRE11 유전자의 비활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마찬가지로 DNA double-strand 손상의 회복에 관여한다. 조기 진단은 여전히 어려우나 serum alpha-fetoprotein (AFP)의 준 정량적인 증가나 cytogenetic analysis (7;14 translocation) 등이 질환의 확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 ataxia-oculomotor apraxia type 1, 2가 있다. 산전 질환은 index case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ATM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된 경우에 가능하다. 치료는 대증적 치료이며 물리치료와 언어치료 외에 감염과 호흡기 질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Beta-blocker은 진전을 줄여 미세 운동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x-ray에 취약하기 때문에 항암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 시 주의가 필요하다. 10-11세 경에는 휠체어가 필요할 수 있다.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이는 호흡기 감염과 신경학적 퇴행, 피부노화, 암 발생의 증가에 기인한다. (35%의 환자들이 20세 이전에 암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