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ease name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Keyword

강직성 척추염, 척추관절병증, 혈청검사음성 관절염, B27 항원

Definition

<진단기준>

염증성 척추 통증 혹은 활막염(비대칭적 혹은 하지에 우세). 그리고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이 포함된다.
*척추관절병증의 가족력
*건선
*염증성 장 질환
*번갈아서 발생하는 엉덩이 통증
*골 부착 부 병증
*천장골염

<감별진단>

X-선 검사에서 천장골염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섬유근육통을 감별진단 해야 한다.

Incidence

북미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여겨지지만, 독일의 유병률은 1%에 이른다. 프랑스에서는 0.49%로 류마티스 관절염(0.64%)과 비슷하다.

Symptom

주요 증상은 번갈아 발생하는 엉덩이 통증, 염증성 척추 통증, 흉곽 앞쪽의 통증과 같은 축성 침범을 반영하는 증상들이다. 진행된 시기에는 생리적인 요추 전만, 척추 후만이 소실되고, 흉곽의 팽창이 감소 함으로서 척추의 운동성 감소가 발견된다.
주요 증상의 발생 비율은 발꿈치 통증과 같은 골 부착부 병증(40%), 말초 관절염(20%), 앞 포도막염(20-50%), 심 내막 염(0.5%이하) 등 이다. 천장골염을 제외한 질환이 진행된 시기에는 X-선 감사가 진단에 매우 유용한데, 척추 인대의 골화가 관찰된다(대나무 모양의 직각화 된 척추). 초기에 X-선 검사가 정상일 때에는 MRI가 유용하다. 지속적인 염증이 연골분해와 연골 및 골미란을 일으킬 수 있다.

Diagnosis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 두 가지 분야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1)B27의 역할을 포함한 유전학(B27 유전자 이식 쥐 모델이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함)
(2)클렙시엘라나 시겔라의 역할 가능성과 같은 감염

Treatment

환자에게 정보 제공과 교육 및 물리치료, 대증 치료를 한다. 강직성 척추염의 최적표준(gold standard)치료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 염증제이다. 이 치료제로 환자들의 80%가 조절이 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치료에도 진행되는 경우에는 질병개선 항류마티스제를 고려해야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쓰이는 설파살라진, 골드, 메토트렉세이트들이 말초 관절을 침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축성 침범이 있는 경우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임상증상에 관계 없이 항 TNF 제제가 효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Prenatal diagnosis

산전에 HLA B27항원에 대한 검사 시행은 적절치 않다.

Genetic counseling

B27 항원과 척추관절병증 사이에 관련성이 있지만, 특별한 예방은 요구되지 않는다. 환자의 자녀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